본문 바로가기
일반스포츠

2025 세계펜싱선수권대회: 시청 바로가기(전하영, 박상원 출전)

by minimalbreeze 2025. 7. 21.
반응형

2025년 7월 22일부터 30일까지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열리는 2025 세계펜싱선수권대회는 한국 펜싱 대표팀이 2년 만에 세계 무대에서 ‘금맥 부활’을 노리는 중요한 무대입니다. 2023년 밀라노 대회에서 금메달 없이 종합 7위에 그쳤던 한국은 이번 대회에서 메달 획득과 함께 종합 순위 상승을 목표로 출전합니다. 이 글에서는 대회 개요, 일정, 주요 관전 포인트, 시청 방법 등을 상세히 정리하며, 펜싱 팬들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출처> 대한펜싱협회_전하영

 

 

 

세계펜싱선수권대회 시청 바로가기

 

 

세계펜싱선수권대회란?

세계펜싱선수권대회는 국제펜싱연맹(FIE)이 주관하는 최고 권위의 펜싱 대회로, 2023년 이탈리아 밀라노 대회 이후 2년 만에 개최됩니다. 지난해 7월 파리 올림픽으로 인해 대회가 열리지 않았기 때문에 이번 대회는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남녀 플뢰레, 에페, 사브르 개인전 및 단체전 총 12개 종목에서 경쟁이 펼쳐지며, 한국은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대비한 세대교체와 함께 강력한 메달 후보로 평가받습니다.

 

한국 대표팀의 목표

한국 펜싱은 2017년(종합 3위, 금 1·은 2), 2022년(종합 2위, 금 3)까지 세계선수권에서 ‘톱 3’를 유지했지만, 2023년 밀라노 대회에서는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로 종합 7위에 머물렀습니다. 특히 개인전 입상자 없이 남자 사브르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는 데 그쳤습니다. 하지만 이후 2023 항저우 아시안게임(금 6·은 3·동 3)과 2024 파리 올림픽(금 2·은 1)에서의 성공으로 재정비에 성공하며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과 순위 상승을 노립니다.

 

주요 선수

한국 대표팀은 기존 스타와 신예 선수들이 조화를 이루며 출전합니다(최종 명단은 대한펜싱협회 공지로 확인 필요):

 - 남자 사브르: 박상원(세계랭킹 6위, 대전광역시청), 오상욱(파리 올림픽 개인전 금메달), 구본길

 - 여자 사브르: 전하영(세계랭킹 2위, 서울특별시청), 최인정

 - 여자 에페: 송세라(세계랭킹 1위, 부산광역시청), 강영미

 - 남자 에페: 박상영(2016 리우 올림픽 금메달)

 - 남자 플뢰레: 허준

 - 여자 플뢰레: 홍효진

 

 

 

대회 일정

2025 세계펜싱선수권대회는 7월 22일부터 30일까지 9일간 진행됩니다. 아래는 예상 일정으로, 정확한 일정은 FIE 공식 웹사이트(www.fie.org) 또는 대한펜싱협회(fencing.sports.or.kr)에서 확인하세요.

 - 7월 22일: 개막식, 남녀 플뢰레 개인전 예선

 - 7월 23일: 남녀 플뢰레 개인전 결선

 - 7월 24일: 남녀 에페 개인전 예선

 - 7월 25일: 남녀 에페 개인전 결선

 - 7월 26일: 남녀 사브르 개인전 예선

 - 7월 27일: 남녀 사브르 개인전 결선

 - 7월 28일: 남녀 플뢰레 단체전

 - 7월 29일: 남녀 에페 단체전

 - 7월 30일: 남녀 사브르 단체전, 폐막식

 

각 종목의 예선은 오전, 결선은 오후에 진행되며, 단체전은 4인(3명 주전, 1명 예비)으로 구성된 9바우트 방식입니다.

 

 

반응형

 

 

주요 관전 포인트

 1. 남자 사브르 단체전의 부활

한국 남자 사브르 단체전은 2017~2019 세계선수권 3연패와 2020 도쿄 올림픽 금메달로 세계 최강의 위상을 다졌으나, 2023년 밀라노 대회에서 은메달에 그쳤습니다. 이번 대회에서는 박상원과 오상욱의 조합으로 이탈리아, 헝가리 등 강팀을 상대로 금메달을 되찾고자 합니다. 특히, 박상원의 최근 그랑프리 우승과 월드컵 동메달 3개는 팀의 상승세를 보여줍니다.

 

 2. 여자 사브르와 에페의 차세대 스타

여자 사브르 세계랭킹 2위 전하영은 2024-2025시즌 월드컵과 그랑프리에서 3승을 거두며 세계 정상급 선수로 성장했습니다. 5월에는 세계랭킹 1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여자 에페의 송세라는 2022년 세계선수권 2관왕에 이어 최근 아시아선수권 개인전 우승으로 세계랭킹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이들의 개인전과 단체전 활약은 금메달의 핵심 열쇠입니다.

 

 3. 세대교체와 신예의 활약

파리 올림픽 이후 세대교체를 진행 중인 한국 펜싱은 박상원(2000년생)과 전하영(2001년생) 같은 젊은 선수들이 주축이 되어 활약 중입니다. 이들은 독일 에센에서 열린 라인-루르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에서 개인전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박상원은 단체전도 석권했습니다. 이들의 활약은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대비한 한국 펜싱의 밝은 미래를 보여줍니다.

 

 4. 경쟁국과의 치열한 대결

이탈리아, 프랑스, 헝가리, 미국 등 펜싱 강국들은 이번 대회에서도 강력한 경쟁자입니다. 특히 이탈리아는 플뢰레와 사브르에서, 프랑스는 에페에서 강세를 보이며 한국의 메달 획득에 도전장을 내밀 것입니다. 한국은 단체전에서의 전략적 경기 운영과 심리전으로 이들을 제압해야 합니다.

 

<출처> 연합뉴스_박상원

 

 

시청 방법

 1. TV 및 온라인 중계

한국 내에서는 KBS, MBC, SBS가 주요 경기를 생중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한국 선수들의 결선 경기는 저녁 시간대에 방송될 예정입니다. 중계 일정은 각 방송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온라인으로는 FIE 유튜브 채널(www.youtube.com/@FIEvideo)에서 전 경기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시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포츠지원포털(g1.sports.or.kr)에서 대회 결과와 하이라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현장 관람

트빌리시에서 대회를 직접 관람하려면 FIE 공식 웹사이트 또는 조지아 현지 티켓 판매 사이트에서 티켓을 구매하세요. 경기장은 트빌리시 스포츠 아레나로 예상되며, 사전에 정확한 장소와 일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3. 실시간 정보 확인

 - 대한펜싱협회(fencing.sports.or.kr): 선수 명단, 경기 결과, 실시간 업데이트.

 - FIE 공식 웹사이트(www.fie.org): 경기 일정, 라이브 스코어, 결과.

 - 올림픽 공식 웹사이트(www.olympics.com): 하이라이트와 선수 인터뷰.

 

 

세계펜싱선수권대회 시청 바로가기

 

 

마치며

2025 세계펜싱선수권대회는 한국 펜싱이 2023년의 부진을 딛고 금메달과 종합 순위 상승을 노리는 중요한 무대입니다. 박상원과 전하영의 차세대 스타 활약, 송세라의 세계랭킹 1위 기량, 그리고 남자 사브르 단체전의 금메달 탈환은 이번 대회의 주요 볼거리입니다. TV, 온라인 스트리밍, 현장 관람을 통해 한국 대표팀의 치열한 승부를 응원하며, 트빌리시에서 펼쳐질 금맥 부활의 순간을 함께 지켜봅시다!

 

 

참고 자료

 - 대한펜싱협회: fencing.sports.or.kr

 - 국제펜싱연맹(FIE): www.fie.org

 - 연합뉴스: www.yna.co.kr

 - 올림픽 공식 웹사이트: www.olympics.com

 - 스포츠지원포털: g1.sports.or.kr

 

 

2025 아시아 롤러스케이팅 선수권대회: 시청 바로가기

 

2025 아시아 롤러스케이팅 선수권대회: 시청 바로가기

2025년 제20회 아시아 롤러스케이팅 선수권대회(Asian Roller Sports Championships)는 아시아 지역 최대 규모의 롤러 스포츠 대회로, 세계 스케이트 아시아(World Skate Asia, WSA)가 주최하고 대한롤러스포츠연

minimalbreez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