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구리그

KT 앤드루 스티븐슨 선수: 대체선수_연봉_프로필_키_나이_메이저리그 경력_강점_미래

by minimalbreeze 2025. 8. 7.
반응형

KT Wiz가 2025 시즌을 앞두고 새로운 외국인 타자 앤드루 스티븐슨(Andrew Stevenson)을 영입하며 팀의 전력을 강화했습니다. 기존의 장수 외국인 타자 멜 로하스 주니어(Mel Rojas Jr.)와의 결별 후, 스티븐슨의 영입은 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글에서는 스티븐슨의 연봉, 프로필, 키, 나이, 메이저리그(MLB) 경력, 강점, 그리고 KBO 리그에서의 미래 전망을 상세히 다룹니다.

 

<출처> KT위드_앤드루 스티븐슨

 

KBO프로야구 실시간 순위 및 선수 기록 확인하기

 

앤드루 스티븐슨: 연봉 및 계약 정보

KT Wiz는 2025년 8월 2일, 앤드루 스티븐슨과 2025 시즌 잔여기간 동안 연봉 20만 달러(약 2억 7천만 원)에 계약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KBO 리그 외국인 선수 계약으로는 비교적 합리적인 금액으로, 스티븐슨이 팀에 즉각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선수로 평가받았음을 보여줍니다. 이 계약은 멜 로하스 주니어의 부진으로 인한 방출 이후 KT가 공격적인 로스터 변화를 추구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앤드루 스티븐슨: 프로필

기본 정보

 - 이름: 앤드루 패트릭 스티븐슨(Andrew Patrick Stevenson)

 - 출생일: 1994년 6월 1일

 - 나이: 31세 (2025년 기준)

 - 출생지: 미국 루이지애나주 라피엣

 - 키: 약 183cm (6피트)

 - 체중: 약 87kg (192파운드)

 - 포지션: 외야수 (좌타자, 좌투수)

 - 드래프트: 2015년 MLB 드래프트 2라운드 (워싱턴 내셔널스 지명)

 - 학력: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LSU)

 

스티븐슨은 루이지애나주 라피엣 출신으로, 어린 시절부터 야구에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그는 2005년 리틀리그 월드 시리즈에 라피엣 리틀리그 소속으로 출전하며 주목받았고, 이후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LSU)에서 대학 야구 선수로 활약했습니다. 대학 시절 그는 뛰어난 수비력과 빠른 발로 이름을 알렸으며, 2014년 케이프 코드 야구 리그에서 타율 0.311, 23 도루를 기록하며 리그 우승에 기여했습니다.

 

 

메이저리그(MLB) 경력

앤드루 스티븐슨은 2015년 워싱턴 내셔널스에 의해 MLB 드래프트 2라운드에서 지명받으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습니다. 그는 2017년 7월 23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의 경기에서 메이저리그 데뷔전을 치렀습니다.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워싱턴 내셔널스와 미네소타 트윈스에서 총 273경기에 출전하며 아래와 같은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 타율: 0.243

 - 홈런: 8개

 - 타점: 50개

 - 도루: 12개

 - 출루율: 0.305

 - 장타율: 0.363

 

특히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내셔널스에서 주로 백업 외야수로 활약하며 타율 0.266, 출루율 0.348, 장타율 0.389를 기록했습니다. 2020 시즌에는 12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고, 제이콥 디그롬을 상대로 2홈런(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 포함)을 기록하는 등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습니다. 그는 2019년 내셔널스의 월드 시리즈 우승 당시 로스터에 포함되어 챔피언 반지를 획득하기도 했습니다.

 

2021년에는 풀타임 외야수로 기회를 얻었으나, 타율 0.229로 부진하며 마이너리그로 강등되었습니다. 2022년에는 전 시즌을 마이너리그에서 보냈고, 2023년 미네소타 트윈스에서 25경기에 출전했으나 성적이 저조했습니다(타율 0.189). 이후 그는 일본 프로야구(NPB)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2024 시즌)와 멕시코 리그 피라타스 데 캄페체(2025 시즌 초반)에서 뛰었으며, 2025년 탬파베이 레이스 산하 트리플 A 더럼 불스에서 타율 0.295, 5 홈런, 22타점을 기록하며 부활의 조짐을 보였습니다.

 

 

 

마이너리그 및 해외 리그 성적

스티븐슨은 마이너리그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남겼습니다. 7 시즌 동안 770경기에 출전해 타율 0.289, 58 홈런, 328타점을 기록했으며, 특히 트리플 A에서는 타율 0.290, 53 홈런, 252타점을 기록했습니다.

2025년 더럼 불스에서의 활약은 그의 타격 능력이 여전히 경쟁력 있음을 보여줍니다.

 

일본 NPB에서는 24경기에서 타율 0.161로 부진했으나, 일본 마이너리그(동부 리그)에서는 타율 0.327, OPS 0.850으로 좋은 성적을 냈습니다. 멕시코 리그에서도 안정적인 타격을 보여 KT Wiz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반응형

 

강점: 공수 겸장 외야수

KT Wiz 단장 나도현은 스티븐슨을 “강한 타구를 생산할 수 있는 중장거리형 타자”이자 “외야 전 포지션을 안정적으로 소화할 수 있는 수비수”로 평가했습니다. 그의 주요 강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타격 능력:

    스티븐슨은 중장거리형 타자로, 강한 타구를 양쪽 필드에 분산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췄습니다. 그는 컨택 위주의 타격 스타일을 보이며, 대학 시절과 마이너리그에서 보여준 높은 타율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2020년 MLB 시즌에서 보여준 12경기 연속 안타와 제이콥 디그롬 상대로의 멀티 홈런은 그의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삼진율(MLB 평균 27.5%)이 다소 높은 편이지만, 볼넷 비율(10.2%)이 높아 출루 능력이 뛰어납니다.

 

 - 수비 능력:

    스티븐슨은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 모두 소화 가능한 다재다능한 외야수입니다. 특히 중견수 수비에서 뛰어난 스피드와 본능적인 판단력으로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

     대학 시절 “The Catch”로 불린 호수비(2015년 대학 월드 시리즈)와 MLB에서의 다이빙 캐치(2017년 마이애미 말린스 전) 등 수비 하이라이트가 많습니다.

    다만, 그의 송구 능력은 평균 이하로 평가받아 수비 시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주루 능력:

    스티븐슨은 평균 이상의 스피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학 시절 23 도루(2014년)와 마이너리그에서의 꾸준한 도루 기록이 이를 증명합니다. KBO 리그의 빠른 경기 템포에 적합한 주루 플레이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경험과 적응력:

    MLB, NPB, 멕시코 리그, 마이너리그 등 다양한 리그를 경험하며 적응력을 키웠습니다. 특히 해외 리그 경험은 KBO 리그에서의 빠른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출처> KT위즈_앤드루 스티븐슨

 

KBO 리그에서의 미래 전망

스티븐슨의 KBO 리그 영입은 KT Wiz의 공격과 수비 모두에서 균형을 잡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보입니다. KBO 리그는 MLB에 비해 투수들의 평균 구속이 낮고, 타자 친화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있어 스티븐슨의 타격 능력이 빛을 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의 중장거리 타격 스타일은 KBO 리그의 중소형 구장에 적합하며, 타율과 출루율을 바탕으로 테이블 세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기대되는 역할

 - 타선에서의 기여: 스티븐슨은 상위 타선(1~3번)에서 빠른 발과 높은 출루율로 공격의 물꼬를 터줄 수 있습니다. 그의 타격 스타일은 2루타와 3루타 중심의 생산력을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 홈런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수비에서의 안정감: 외야 전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는 그의 수비력은 KT Wiz의 외야 수비를 강화할 것입니다. 특히 수원 KT Wiz 파크의 넓은 외야를 커버하는 데 적합합니다.

 - 팀 분위기 쇄신: 멜 로하스 주니어의 부진으로 팀 타선이 침체된 상황에서, 스티븐슨의 활약은 팀의 사기를 북돋울 수 있습니다.

 

도전 과제

 - KBO 리그 적응: NPB에서의 부진(타율 0.161)은 새로운 리그 적응에 시간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KBO 리그의 독특한 경기 스타일과 투수들의 변화구에 빠르게 적응해야 합니다.

 - 송구 약점 극복: 그의 평균 이하의 송구 능력은 주자를 견제하거나 추가 진루를 막는 데 한계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포지셔닝과 빠른 판단력이 중요합니다.

 - 지속적인 타격 생산성: MLB에서 풀타임 기회를 얻었을 때(2021년) 부진했던 전례가 있으므로, KBO 리그에서 꾸준한 타격 생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래 가능성

스티븐슨은 KBO 리그에서 성공할 경우 MLB 복귀의 기회를 노릴 수 있습니다. KBO 리그는 과거 매트 데이비슨, 기예르모 에레디아 등 MLB 출신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내며 재도약의 발판으로 삼은 사례가 많습니다. 만약 스티븐슨이 타율 0.300 이상, 홈런 15개 이상, 도루 20개 이상의 성적을 낸다면, 그는 KBO 리그에서 주목받는 외국인 타자로 자리 잡고, 이후 MLB 구단들의 관심을 끌 가능성이 큽니다.

 

 

 

결론

앤드루 스티븐슨은 KT Wiz의 새로운 외국인 타자로서 공수에서 균형 잡힌 기여를 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습니다. 그의 MLB와 마이너리그에서의 경험, 빠른 발, 안정적인 수비, 그리고 중장거리 타격 능력은 KBO 리그에서 큰 강점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비록 NPB에서의 부진과 송구 약점이라는 도전 과제가 있지만, KBO 리그의 타자 친화적 환경과 KT Wiz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서 그는 팀의 핵심 선수로 거듭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팬들은 스티븐슨이 KT Wiz의 2025 시즌 후반기를 이끌며 새로운 성공 스토리를 써 내려가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 Yonhap News Agency: "KT Wiz sign new outfielder Andrew Stevenson, release Mel Rojas Jr." (2025-08-02)

 - MLB Trade Rumors: "KBO’s KT Wiz Sign Andrew Stevenson" (2025-08-04)

 - Baseball-Reference: "Andrew Stevenson Stats, Height, Weight, Position, Rookie Status & More" (2025-03-12)

 - Wikipedia: "Andrew Stevenson (baseball)" (2024-10-12)

 - The Korea Times: "KT Wiz sign new outfielder Andrew Stevenson, release Mel Rojas Jr." (2025-08-03)

 

 

KT 멜 로하스 주니어 선수: 연봉_프로필_키_나이_메이저리그_일본리그 경력_미래(케이티)

 

KT 멜 로하스 주니어 선수: 연봉_프로필_키_나이_메이저리그_일본리그 경력_미래(케이티)

멜 로하스 주니어는 KBO 리그 kt 위즈 팬들에게 '로하스'라는 이름으로 깊이 각인된 선수입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kt 위즈에서 활약하며 KBO 리그 최고의 타자 중 한 명으로 군림했던 그는, 2024

minimalbreeze.com

 

반응형